유럽 등 각국이 ‘대러 제재’ 유지해야”
마크롱 “러에 강력한 액션 필요” 강조
美 ‘러, 평화 거부 땐 재평가’ 경고 속
협상 이유 상호관세 대상 제외 특혜
푸틴 특사 “이르면 주중 미·러 회동”
휴전협상 중임에도 러시아의 공습이 격화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프랑스 등이 미국의 대응을 촉구하고 나선 가운데 이르면 이번주 중 미·러 고위급 접촉이 재개될 전망이다.
![]()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연합뉴스 |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영상 연설에서 “오늘 러시아가 자행한 공격 중에는 흑해상에서 발사된 미사일도 있었다”며 “이것이 러시아가 무조건적인 휴전을 거부하는 이유다.
그들은 해상에서 우리 도시와 항구를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싶어 한다”고 비난했다.
앞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미국의 중재로 30일간 에너지 시설 등에 대한 부분휴전과 흑해에서의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선결조건을 걸면서 휴전이 이행되지는 못하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휴전에 동의했으나 푸틴(러시아 대통령)은 거부하고 있다”며 “우리는 미국의 대응을 기다리고 있지만 아직은 반응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럽 모든 나라들과 진정한 평화를 원하는 세계 각국이 대응해 주기를 기대한다”며 대러시아 제재 등 압박을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휴전협상 중이지만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목적 등으로 전쟁은 더 격화하고 희생자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4일에는 러시아가 젤렌스키 대통령 고향인 러시아의 동남부 도시 크리비리흐 지역에 미사일 공격을 했고 어린이를 포함해 최소 19명이 숨지고 수십명이 다쳤다.
당시 브리짓 브링크 주우크라이나 미국 대사는 엑스(X·옛 트위터)에 사망자 중에 어린이가 포함됐다며 “전쟁을 끝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러시아 미사일’이라는 언급이 없는 미측 입장문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에 “미국 대사관의 반응은 놀라울 정도로 실망스럽다”며 미국에 항의를 표출했다.
![]() |
러 드론 공격에… 불타고 파괴된 우크라 아파트 우크라이나 소방관들이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제2의 도시 하르키우 지역에서 러시아의 드론 공격으로 화재가 발생한 아파트 불을 진압하고 있다. 하르키우=AP연합뉴스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엑스에 크리비리흐 상황 등을 언급하면서 “러시아의 공습은 끝나야 한다.
러시아가 계속해서 시간을 벌려고 하고 평화를 거부할 경우엔 강력한 액션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을 향해 대러 압박 조치를 촉구한 것이다.
미국이 내놓는 대러 메시지는 냉온탕을 오가 모호하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최근 “러시아가 평화에 진지한지는 몇 달이 아니라 몇 주 안에 곧 알게 될 것”이라며 “그렇지 않다면 우리의 입장을 재평가(reevaluate)해야 할 것”이라고 러시아에 경고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선 휴전협상 중이라는 이유로 러시아가 제외되는 ‘특혜’를 받기도 했다.
러시아가 제외된 이유에 대해 케빈 해싯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진행 중이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두 가지 문제를 혼동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가 앞으로 다른 국가들과 전혀 다르게 대우받는다는 뜻은 아니다”라면서도 “하지만 지금은 러시아가 이 새로운 관세 대상이 아닌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다”라고 덧붙였다.
해싯 위원장은 또 “많은 미국인과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협상 중에 새로운 사안을 테이블에 올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미국을 향한 대러 압박 촉구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 회동 일정은 이르면 다음주 성사될 전망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CEO)는 6일 미·러 향후 접촉 일정을 묻는 질의에 “이르면 (6일 기준) 다음 주”라고 답했다고 타스통신이 전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지난 2~3일 미국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를 만나 미·러 양자관계 사안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문제를 논의한 바 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