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사회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美 9일 상호관세 전면 발효…韓·日 동맹 협상 우선, 中엔 104% 관세폭탄

미국이 9일(현지시간) 오전 0시1분부터 86개국을 대상으로 11~50%에 이르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전면 발효한 뒤 각국과 개별 협상에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한국·일본을 콕 집어 동맹을 협상 최우선순위에 두겠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에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경고한 대로 2기 집권 후 누적 104%의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하기로 해 미·중 무역 전쟁이 장기전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韓 대행과 통화…상호관세 협상서 韓·日 등 동맹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8일 오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 통화하고 관세, 조선,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입,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비용)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한국의 권한대행과 좋은 통화를 했다"며 "그들 최고의 팀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고 상황은 좋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9일 상호관세 전면 시행을 앞두고 한국과의 협상에 착수할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상호관세 협상을 이끌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이날 약 50개국과 접촉하고 있다며 협상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이날 미 의회 상원 재무위원회에 출석해 "상호주의를 달성하고 우리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는 더 나은 구상이 있다면 (다른 국가와) 대화, 협상하고 싶다"며 "우리는 열려 있다"고 말했다.
그리어 대표와 함께 관세 협상을 이끌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도 약 70개국과 연락했다며 관세 협상을 예고했다.


미국은 지난 5일 전 세계 교역국에 10%의 기본관세를 발효했고, 9일에는 '최악의 침해국'을 상대로 국가별로 상이한 징벌적 추가 관세를 발효한다.
앞서 '선(先)관세, 후(後)협상' 기조를 수차례 예고한 대로 9일 자정 상호관세 전면 시행 후 각국과 협상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글로벌 전면전으로 확산되지 않고,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협상 과정에서 동맹을 우선순위에 두겠다는 방침도 확인했다.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협상에서 한국, 일본과 같은 동맹과 먼저 협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과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그리미어 대표 등은 협상 과정에서 통상뿐 아니라 경제 안보, 국방 등 주요 현안을 아우르는 '원스톱 쇼핑', 이른바 패키지 딜 방식으로 거래를 성사시키고 싶다는 의중 역시 드러냈다.


"보복은 실수" 中엔 104% 추가 관세 부과 강행…미·중 무역 전쟁 장기화 우려

반면 미국은 대미 보복을 예고한 중국에는 집권 2기 출범 후 누적 104%의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중 50% 추가 관세 부과는 "9일 오전 0시1분에 발효된다"고 밝혔다.
그는 "보복 조치를 한다면 중국의 실수로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며 "그것이 104%의 관세가 시행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20일 취임 후 중국에 10%씩 두 차례에 걸쳐 추가 관세를 부과한 뒤, 9일부터는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강력 반발해 미국과 같은 수준의 보복관세 부과로 맞서자,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50%의 추가 관세를 더 얹어 재보복하겠다고 위협했다.
미국이 예정대로 상호관세를 발효하면 9일부터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는 트럼프 2기 집권 후 104%로 올라가게 된다.


중국은 미국의 50% 추가 관세 위협에 굽히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이른바 상호관세를 부과한 건 전혀 근거가 없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며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강력 대응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 모두 중국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며 대화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일단 미국이 100%가 넘는 대중 추가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강 대 강' 대치는 피할 수 없게 됐다.
양측이 관세, 보복관세, 재보복 등의 악순환에 빠질 경우 미·중 무역 갈등이 양보 없는 치킨게임 양상으로 비화,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