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이 미국 경기가 침체할 가능성이 높으며 관세 인상으로 약 200만명의 미국인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경고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경기 침체와 실업의 여파로 미국 가계 소득이 가족당 약 5000달러(약 743만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관련, "향후 몇주 동안 매우 중요한 선택이 있을 것"이라며 현재 정책은 대공황을 심화시킨 1930년 관세 계획(스무트 홀리 관세법·2만여개 상품에 평균 59% 관세 부과)을 뛰어넘는다고 말했다.
또 "발표한 정책을 철회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라고 트럼프 행정부에 권고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금융 시장이 관세 영향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명확하게 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관세 90일 유예 가짜뉴스처럼 완화 조치를 시사하는 기사엔 주가가 급등하고, 관세를 지속할 것이란 소식엔 주가가 급락한다는 의미다.
이어 "경기 침체 상황에서 시장이 현재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 국면과 시장이 바닥을 찍은 상태라면 정말 놀라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S&P500 지수가 1년 만에 5000선 밑으로 하락했지만 향후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미국 경기 침체가 재정 적자 확대 등 여러 가지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며 "세계 경제에서 고위험 기업과 고위험 국가에 영향을 미칠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시장의 내부의 건전성보다는 시장이 외부로 보내는 메시지에 더 우려한다.
외부 메시지는 경고라고 생각한다"며 "기업 임원이나 학계 리더가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장은 상황이 어디로 향하는지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신호"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처음으로 자국의 정책으로 인한 경기 침체에 직면해 있다"며 "외부 세계에서 이러한 도전(침체)을 일으키는 것은 아무도 없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의 말과 행동에 의해 유도된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역사적 선례가 실제로 있는지 모르겠다"면서도 "정부가 정책 오류를 철회하면 경제가 상당히 정상화될 것"이라고 했다.
하버드대 교수이기도 한 서머스 전 장관은 "이것은 복잡한 문제가 아니다.
중산층에 대한 대규모 증세가 불확실성과 함께 시행될 경우 기업에 타격을 주고 경제를 하락세로 몰아간다는 것은 경제학 입문 수준"이라며 "B 학점만 받아도 아는 내용이다.
그에 대한 정답은 공급 충격이며 이는 물가를 올리고 실업률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미국이 관세율을 2차 세계대전 이전 수준으로 인상한다면 "미국과 세계 경제에 엄청난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이 확실하게 시행된다면 시장의 손실은 수조달러에 달할 것이다.
그리고 주식 시장은 이런 정책으로 인한 경제 손실의 아주 일부만을 측정한다"고 밝혔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