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스포츠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SK의 날’ 워니, 외국선수 MVP…만장일치 역대 2번째+최다 외국선수 MVP 등극

SK 자밀 워니. 사진=KBL 제공
정규리그 우승과 함께한 역대 두 번째 만장일치 MVP(최우수선수)와 3관왕의 영예. 은퇴를 시사한 SK 자밀 워니가 무거운 양손에 함박웃음을 짓는다.

시상식서 펼쳐진 SK 잔치의 화룡점정을 찍었다.
워니는 9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 볼룸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시상식에서 최고의 별로 떠올랐다.
만장일치로 정규리그 외국선수 MVP 영예를 안았다.
더불어 득점상, 베스트5까지 수상하며 3관왕에 올랐다.

해피엔딩을 꿈꾼다.
워니는 올 시즌 중반 돌연 은퇴 의사를 밝혔다.
우승을 달성하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겠다고 전한 바 있다.
워니는 “지난 시즌에도 외국선수 MVP를 받았는데, 이번에 또 받았다.
구단, 코칭스태프분들께 감사하다”며 “남은 2~3주 동안 열심히 훈련해서 잘 즐기겠다”고 짧은 소감을 전했다.
SK 자밀 워니(오른쪽). 사진=KBL 제공
독보적인 질주에 이견은 없다.
워니는 개인 통산 4번째 외국선수 MVP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만장일치다.
기자단 투표 111표 중 111표를 독식했다.
종전까지 KBL서 단 한 번 나온 진기록이다.
1997~1998시즌 현대의 통합우승을 이끈 조니 맥도웰이 유일했다.

새 역사에도 이름을 새긴다.
워니는 앞서 2019~2020, 2021~2022, 2022~2023시즌에 외국선수 MVP를 받았다.
올 시즌까지 더하면 개인 통산 4회다.
맥도웰과 라건아(이상 3회)를 넘어 KBL 역대 최다 외국선수 MVP 금자탑을 세웠다.
워니는 올 시즌 54경기 평균 33분10초 출전 22.6점 11.9리바운드 4.4어시스트를 기록하며 SK의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자밀 워니(왼쪽), 안영준. 사진=KBL 제공
SK는 한번 더 함박웃음을 지었다.
올 시즌 SK는 46경기로 KBL 역대 최소경기 정규리그 우승 기록을 경신했다.
기록을 세우며 우승한 만큼 트로피를 쓸어담는 건 당연할 터. 국내선수 MVP 트로피는 안영준에게 안겼다.
안영준은 52경기 평균 33분25초 동안 14.2점 5.9리바운드 2.7어시스트를 마크했다.
생애 첫 MVP다.
기자단 투표 111표 중 89표를 안았다.

안영준 시대를 연다.
안영준은 “이 자리까지 올 수 있게 도와주신 SK 모든 분들께 감사하다.
가장 가까운 곳에서 묵묵히 버텨주고, 힘들고 지칠 때 팬이 되준 가족들에게도 감사드린다”며 “요즘 농구는 화려한 플레이나 많은 득점을 하는 선수가 인정받는 시대다.
나는 화려하지않지만 공수에서 모두 도움되는 플레이를 하고 싶다.
이번 상은 이런 부분을 인정받는 것 같아서 뜻깊다”고 미소 지었다.

SK 안영준(왼쪽), 전희철. 사진=KBL 제공
제자들의 수상에 뿌듯한 미소를 짓던 스승도 무대에 올랐다.
전희철 SK 감독은 감독상을 받았다.
생애 두 번째 감독상이다.
2021년부터 SK의 지휘봉을 잡은 전 감독은 부임 첫해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감독상을 수상했다.
더불어 SK는 베스트5에 김선형, 안영준, 워니가 나란히 이름을 올렸고, 마케팅상 등을 거머쥐며 최고의 하루를 보냈다.
LG 칼 타마요. 사진=KBL 제공
생애 단 한 번뿐인 신인왕의 영예는 KT 아시아쿼터 조엘 카굴랑안이 안았다.
KT서 신인선수상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식스맨상까지 박준영이 받으면서 KT의 얼굴이 폈다.
LG도 활짝 웃었다.
베스트5에 칼 타마요, 아셈 마레이가 이름을 올렸고, 정인덕이 이성구 페어플레이상을 받았다.
수비서 최고의 기량을 펼친 선수에게 돌아가는 최우수수비상은 정성우(한국가스공사)가 수상했다.


삼성동=최서진 기자 westjin@sportsworldi.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