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정보

넷기어 GS308E 8포트 기가비트 네트워크 인터넷 스위칭 허브 기가 홈네트워크 구성

* 리뷰: 구매 후 와이프의 눈치를 보고, 나만의 정보축적을 위해 작성한 제품 사용 후기

* 내 돈 주고 내가 산 지극히 주관적인 후기입니다. 협찬 광고 아닙니다.


더많은 사진과 원문은 아래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westview2017/223086046779


흔히 사용하는 공유기는 1개의 인터넷(WAN) 즉, 1개의 IP 주소를 가지고 여러 대의 장비에 IP를 할당해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반면, 스위칭 허브는 공유기에 할당된 IP를 더 많은 장치에 분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입니다.


스위칭 허브는 기본적으로 공유기 다음 순으로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요.


이렇게 연결해서 쓰면 공유기를 거점으로 공유기 포트, 스위칭 허브에 연결된 포트 모두 하나의 주머니처럼 내부망 안에서 사용이 가능해 스위칭 허브는 홈네트워킹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통상 단자함에 있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WAN-모뎀의 인터넷 선을 공유기에 연결하고 다시 공유기에서 스위칭 허브로 연결,


그리고 거실, 각 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선들을 모두 스위칭 허브에 연결해 주면 하나의 내부망으로 거실과 각방에 있는 포트(인터넷)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뎀-공유기-허브-다수의 장비)


저도 이렇게 이용하기 위해 집의 인터넷 구성도를 그려보고 스위칭 허브를 구매했습니다.


IMG_6378.JPG



기존

기존 구성입니다.


IMG_6379.JPG



홈네트워크 변경안입니다.


제가 구매한 넷기어 스위칭 허브 모델은 GS308E라는 모델명으로 8포트 관리형 모델입니다.


A7_02279.JPG



생각보다 큰 패키지와 무게에 놀랐습니다. 안전한 패킹을 위해 박스에 공간을 두고 있는 포장입니다.



A7_02283.JPG


구성품은 전원 어댑터와 벽면 고정용 나사, 그리고 본체입니다.


본체는 메탈 소재로 이루어져 견고하고 높은 내구도 그리고 발열에 강점을 보일 듯합니다.



A7_02285.JPG



전면입니다.

전원 LED, 8개의 포트와 현재 지원하고 있는 속도를 알려주는 LED가 포트별로 위치해 있습니다.


10M/100M/1,000M에 따라서 LED 상태가 달라

집니다.(10M - 왼쪽 LED 점등 / 100M - 오른쪽 LED 점등 / 1,000M - 양쪽 LED)


UTP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면 초록색 불이 들어

오고 통신 중에는 LED가 깜빡입니다.


A7_02289.JPG


사이드에는 발열에 도움을 주는 통풍구가 존재합니다.



A7_02286.JPG


바닥면은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고무패킹 4개가 위치해있고 벽면에 거치하기 위한 용도인 홀이 2개가 위치해 있습니다.


제가 네트워크 기기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이 제품을 구매하게 된 몇 가지 포인트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기가비트 이더넷

8개의 포트가 장치에 기가비트 이더넷 연결을 제공합니다.


메탈 소재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메탈 소재로 튼튼하고 발열에 강합니다.


포트 LED

포트 LED를 통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더넷 속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성

이 스위치는 전력 사용을 최적화하여 운용 비용을 절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

네트워크 구성 및 관리지원, 플러그 앤 플레이, 트래픽 세분화, 포트 미러링 등을 특장점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스위칭 허브가 거기서 거기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아무래도 상시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제품이고 안정적인 인터넷 속도에 영향을 주는 제품이다 보니 브랜드나 제품 마감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 넷기어 GS308E를 선택했습니다.


사실상 상세 제원이나 기능에 대해서 모두 파악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다만 현재 구성하고자 하는 홈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안정적으로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만듦새와 편의성을 지닌 제품이라는 판단하에 구매했습니다.


IMG_6443.JPG


본래 구상했던 데로 단자함에 있는 KT UDP 모뎀과 각방에 있는 인터넷 선 연결을 모두 마쳤고 정상작동 및 속도, 단일 네트워크 구성 여부 확인했습니다.


이로써,


1. 집 어디에서든 기가급 인터넷 속도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2. 거실의 NAS를 작은방에 단독으로 위치하게 하여 거실이 미관상 더 좋아졌고 소음에서도 해방되었습니다.


3. NAS를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 기능이 있는 장비를 단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언제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해졌습니다.

출처 입력


원하던 구성으로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어 굉장히 만족스럽네요.


왜 이제서야 이런 스위칭 허브나 홈네트워크에 대해서 알게 되었을까 싶습니다. 제가 구성한 홈네트워크 구성도를 첨부 드리며 마치겠습니다.


IMG_6379.JPG



* 지극히 주관적인 후기입니다. 잘못되거나 다른 의견은 언제든 댓글 주세요.


출처: https://blog.naver.com/westview2017/223086046779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먮뵒��
HTML�몄쭛
誘몃━蹂닿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