뛴지는 5개월 정도 됐습니다.
일반적으로 구하는 산식으로 그 피크를 계속 찍거나 지속되면 심장에 무리가 가는건가요? 아니면 견디면 튼튼해지는건가요?
페이스 500~630 사이에서는 항상 평균 165 이상 최대 185정도 찍히는데..물론 빨라질수록 호흡이 좀 가빠지긴 하지만 그냥저냥 그렇거든요.
뛰면 보통 6-10km 정도 뛰어요.
그냥 무조건 느리게 심박수 고려해서 뛰어야 되나요?
계속 이러면 뛰다가 돌연사 할까요?
�ㅽ뵂�щ읆�먯꽌 �ㅻⅨ�섍껄�� �ъ슜�� 寃쎌슦 �ъ씤�� 李④컧�� �놁뒿�덈떎.
185면 높긴 높은데 죽진않아요 심장에 지병있으신거아니면요
평균 165이라고하시는거보니 잠깐 185나오시는것같은데
@러너 님 다리,심장이 좋아져서 심박수가 떨어집니다
@러너 오히려 최대 심박수 찍어줘야 체력이 길러지는거죠
마냥 존2에서 놀다간 그냥 워밍업이 되는겁니다.
운동의 1번 기초원리는 점진적 과부하예요
처음부터 무리 아닌 점진적으로 과부하는 몸에 너무 좋습니다.
@러너 말들이 다 달라서 헷갈리네요ㅠㅠ
@러너 느리게 달려야 천천히 달려야 이 가스라이팅이요?
그러다가 평생 6분대 5분대로 러닝하는거예요
점진적 과부하 없으면 절대 페이스 안 빨라집니다. (인터벌 훈련등등)
@러너 이게 맞죠 느리게 천천히 멀리는 LSD 할때 하는거고 잘달리고싶으면 점진적 과부하 필수죠
160넘어가면서 부턴 힘들던데 대단하시구만유
안힘든건 아닌데 참을만하고 밀만해서 하는건데 거리가 늘어날수록 점점 숨이 차긴 합니다.
평소에는 최대심박수의 80퍼를 넘지않게 달리시는게 좋아요
800뛰심됩니다
보통 220에서 자기 나이를 뺀 수치를 최대 심박수로 보더라고요.
네 그렇게 하면 180인데 피크 185 정도 나오더라고요
저도 설렁 뛰는거 같은데 170 정도 나오더라고요
워치에 오류가 있는지....
워치가 오류인지 몸이 썩몸인지ㅠㅠ
160넘기면 숨 겁나 차던데...ㅠ 한편으로는 부럽네요
전 평균 140 전 후 질주 할때만 160 전후 되는거 같습니다
전 그게 부럽습니다ㅠㅠ 질주할 때는 180 190도 가뿐히...ㅠ
최대심박수 * 0.9 이내를 최대 강도 운동으로 하는게 좋다고 하더라구요.
유산소 운동효과는 *0.7~0.8 내외에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하구요.
35세라고 하면 최대심박수 185
고강도 운동 165~175 이내
유산소 운동 130~150 내외
저도 그래서 테니스 같은 고강도 운동은 최대심박으로 관리하고..
5km 이상 러닝은 150 넘지 않게 낮은 강도로 뛰어요.
특히 유산소 운동을 많이하는 사람일 수록 평균치보다 최대심박이 높을 확률이 높습니다.
심박이 높다고 돌연사 할 이유는 없구요, 오히려 오래 고심박을 유지할 수 있다면
심장이 튼튼한겁니다.
심장도 근육으로 이뤄져있어서 지속적으로 부하를 가할 경우 커지고 튼튼해집니다.
다만 지금은 너무 고심박 위주로 훈련플랜이 짜여져있으신 것 같아서,
좀더 실력을 늘리시기엔 제약이 따를 것 같네요. 러닝 커뮤니티등 가입해서 공부해보시면 좋을듯합니다
넵 감사합니다!
그냥 가만히 있을 땐 50후반에서 60초반 나옵니다.
잘땐 49-80 정도로 나오네요.
갤워치 측정 기준
占썬끋逾귨옙��놅옙癒�퐣 占썬끇�⑨옙�띻퍍占쏙옙 占싼딆뒠占쏙옙 野껋럩�� 占싼딆뵥占쏙옙 筌△몿而㏆옙占� 占쎈냱�울옙�덈뼄.
185면 높긴 높은데 죽진않아요 심장에 지병있으신거아니면요
평균 165이라고하시는거보니 잠깐 185나오시는것같은데
@러너 님 다리,심장이 좋아져서 심박수가 떨어집니다
@러너 오히려 최대 심박수 찍어줘야 체력이 길러지는거죠
마냥 존2에서 놀다간 그냥 워밍업이 되는겁니다.
운동의 1번 기초원리는 점진적 과부하예요
처음부터 무리 아닌 점진적으로 과부하는 몸에 너무 좋습니다.
@러너 말들이 다 달라서 헷갈리네요ㅠㅠ
@러너 느리게 달려야 천천히 달려야 이 가스라이팅이요?
그러다가 평생 6분대 5분대로 러닝하는거예요
점진적 과부하 없으면 절대 페이스 안 빨라집니다. (인터벌 훈련등등)
@러너 이게 맞죠 느리게 천천히 멀리는 LSD 할때 하는거고 잘달리고싶으면 점진적 과부하 필수죠